[해설] 용어 해설
(1) 입력 기기 | |||||||||||||||||||||||||||||||||||||||||||||||||||||||||||||||||||||||||||||||||||||||||||||||||||||||||||
계기용 변압기 VT (Voltage Transformer)
|
계기용 변류기 (CT: Current Transformer)대전류 회로의 전류를 계측할 경우 절연을 확보한 5A (1A) 의 전류 신호를 얻기 위해 사용하는 변압기. ![]() CT비CT의 1차 전류를 2차 전류로 나눈 값. 2차 측 정전류를 통해 1차 전류를 쉽게 알 수 있다. ZCT(Zero Phase Current Transformer)영상 전류를 검출하는 전용 CT. 1차 측 영상 전류 (누전 전류) 가 200mA일 때 2차 측에 1.5mA의 신호를 얻을 수 있다. 일반적인 1차 측 전류는 수백 A~수 kA로 크기 때문에 200mA를 검출하기 위해 전선 위치를 고정으로 하여 성능을 향상시킨 것이 많다. 영상 전류를 간단히 측정할 경우에는 3CT 방식에서 CT의 2차 측을 직렬 접속하여 검출할 수도 있다. VCT(Voltage and Current Transformer)인입구 부근에 전력 회사가 설치하는 전력 수급용 계기용 변압 변류기, 거래 계기용 변성기. 분로 저항큰 전류를 작은 전압으로 변환하는 저항기. CT 대신 사용한다. 배율기전압 미터용 VT. 제조업체의 전용 기기인 경우가 많다. 합성 변성비 (전력비)CT비와 VT비를 곱하여 계산한 값. 2차 전력값을 통해 1차 전력값을 쉽게 알 수 있다. |
||||||||||||||||||||||||||||||||||||||||||||||||||||||||||||||||||||||||||||||||||||||||||||||||||||||||||
(2) 입력 파형 | |||||||||||||||||||||||||||||||||||||||||||||||||||||||||||||||||||||||||||||||||||||||||||||||||||||||||||
실효값 (rms)직류 회로의 전압, 전류의 동작과 같은 결과가 되는 교류 전압·전류의 값을 실효값이라 한다. ![]() 직류 100V DC 전원에 100W인 전구를 접속하면 전류가 1A 흐른다. 이 전구의 밝기가 같아지도록 교류 전압을 조정하면 교류 전압은 100V가 된다. 이 교류 전압값 100V AC를 실효값이라 한다. 이때 흐르는 전류값이 실효값 1A AC이다. 평균값신호의 플러스 측 (마이너스 측) 의 면적과 같은 면적인 직사각형의 높이를 평균값이라 한다. ![]() 고조파기본 주파수의 정수배인 주파수 성분을 가진 전압, 전류. JIS C 1111의 규격에서는 실효값 연산 방식은 제3 고조파 15%에서의 성능 보증이 요구된다 (100%의 50Hz 성분에 15%의 150Hz 성분을 중첩한다). 인버터 (Inverter)·범용 인버터 ·태양광 인버터 (전력 계통 접속용 기기) |
파고율파형의 실효값 성분에 대한 최대 피크값. 사인 파형에서는 √2 이다. 왜곡률파형의 기본파 성분에 대한 고조파 성분의 합계 비율. 사이리스터 (Thyristor)pn 접합 면이 3개 이상이며, 게이트 전류에 의해 대전류를 제어하는 반도체 소자. ![]() ·위상 제어 ·사이클 제어 램프 함수트랜스의 전원을 갑자기 끄면 트랜스에 자기가 남는다. 그 후 전기를 투입했을 때 전원이 꺼져 멈춰 있던 자기와의 위상차에 의해 직류 성분이 발생한다. |
||||||||||||||||||||||||||||||||||||||||||||||||||||||||||||||||||||||||||||||||||||||||||||||||||||||||||
(3) 기타 입력 | |||||||||||||||||||||||||||||||||||||||||||||||||||||||||||||||||||||||||||||||||||||||||||||||||||||||||||
조류전력의 흐름은 ‘전원’에서 ‘부하’로 흐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부하가 발전기 등인 경우는 전력이 반대로 흐르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전력의 흐름이 바뀌에는 것을 ‘조류’라고 부르는데, 기존에는 일상적으로 발전기를 추가, 삭제하는 전력 관련 회사에서만 발생했다. 대체로 수전이 (+) , 송전이 (-) 로 표현된다. 과전압 강도전압 입력이 있는 기기에서 어느 정도의 과대 입력에 견디는지 (고장나지 않는가) 를 숫자로 나타낸 값. |
과전류 강도전류 입력이 있는 기기에서 어느 정도의 과대 입력에 견디는지 (고장나지 않는가) 를 숫자로 나타낸 값. 과전류 정수전류 입력이 있는 기기에서 몇 배의 입력까지 계측할 수 있는지를 나타낸 값. CT에 많다. |
||||||||||||||||||||||||||||||||||||||||||||||||||||||||||||||||||||||||||||||||||||||||||||||||||||||||||
(4) 전원 계통의 종류 | |||||||||||||||||||||||||||||||||||||||||||||||||||||||||||||||||||||||||||||||||||||||||||||||||||||||||||
단상 2선식일반적으로 100V AC를 공급하는 계통. 대전력이 필요한 경우 (대형 히터 등) 에는 3상 3선식 등과 같이 다른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단상 3선식 (Single-Phase Three-Wire System)대지 전압 150V 이하인 전로에서 100V 및 200V 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배전 방식. ![]() 3상 3선식 (Three-Phase Three-Wire System)3상 교류를 전선 3개로 배전하는 방식. Δ 결선, Y 결선, V 결선이 있다. ·Δ 결선 (Delta Connection) ![]() ·Y 결선 (Y-Connection) ![]() ·V 결선 (V-Connection) ![]() |
3상 4선식 (Three-Phase Four-Wire System)해외에서 많이 사용되는 계통. 일본에서는 특별 고전압 계통에 채택되고 있는 방식. 간단하게는 단상 전원이 3개 모인 전원 회로. ![]() 상전압 (Phase Voltage)전선과 접지선 (뉴트럴선) 간의 전압. 3상인 경우에는 선 간 전압을 √3 으로 나눈 값이 된다. 선 간 전압 (Line Voltage)전선과 전선 간의 전압. 3상 평형 회로3상의 전압 크기가 같고, 접속되는 부하가 모두 같은 경우. 부하가 모터만인 경우 등. 3상 불평형 회로3상의 전압 크기가 같지 않거나, 부하가 같지 않은 경우. 부하가 모터 외에 단상 조명 기기를 사용하는 경우 등. |
||||||||||||||||||||||||||||||||||||||||||||||||||||||||||||||||||||||||||||||||||||||||||||||||||||||||||
(5) 트랜스듀서 | |||||||||||||||||||||||||||||||||||||||||||||||||||||||||||||||||||||||||||||||||||||||||||||||||||||||||||
교류 전압 트랜스듀서VT에서 얻은 신호를 계장용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기. 교류 전류 트랜스듀서CT에서 얻은 신호를 계장용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기. 보조 전원이 필요없는 트랜스듀서입력 신호에서 동작하기 위한 에너지를 얻는 트랜스듀서. 전력 트랜스듀서전류와 전압으로 전력 (유효 전력) 을 연산하여 계장 신호를 출력하는 변환기. 전력 (유효 전력)실제 일을 하는 전기량. 단위: W (와트). 0.75kW는 1마력 (1hP). 전력량 (적산용 펄스)단위 시간당 전력을 얼마나 사용했는지를 측정하기 위한 값. 일반 펄스에 중점을 두고, 이 펄스를 카운트하여 얻는다. 단위: Wh/pulse. 전기 요금의 기본이 되는 값. 전력 트랜스듀서의 입력 범위입력 전력을 계장 신호로 할당하는 값. 미터의 최소와 최대 눈금을 의미. 데이터로 원하는 값 (1차 측 전력) 을 전력비로 나눈 값. 무효 전력 트랜스듀서전류와 전압에서 무효 전력을 연산하여 계장 신호를 출력하는 변환기. LEAD (리드)어느 기준점에서 ‘진행’을 의미. ±로 표현하는 경우도 있지만 규정은 없다. LAG (래그)어느 기준점에서 ‘지연’을 의미. 무효 전력부하에 부여한 피상 전력 내에서 유효 전력으로 소비되지 않은 전력. 단위: var 피상 전력전기 기기에 기재된 정격 전류와 정격 전압의 단순 적산값. 기기의 용량이라는 의미. |
功率的关系式피상 전력 (VA) , 유해 전력 (P) 과 무효 전력 (Q) 은 다음 식과 같은 관계가 있다. 보조 CT, VT (PT)VT, CT로부터의 신호는 전자 회로에 있어 너무 크기 때문에 전자 역률 트랜스듀서전류와 전압의 위상차를 통해 역률을 연산하여 계장 신호를 출력하는 변환기. 동작 원리의 종류에 따라 파형 왜곡의 영향으로 연산 결과가 다를 수 있다. 역률피상 전력을 어느 정도 유효하게 전력으로 사용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값.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를 Φ로 하면 다음 식과 같다. 위상 변별 역률 보정역률 트랜스듀서의 동작 원리로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를 측정하고 역률 곡선과 근사한 함수로 치환하여 역률 신호를 얻는 방식. 위상각 트랜스듀서전압과 전류의 위상차를 연산하여 계장 신호를 출력하는 변환기. 위상 변별위상각 트랜스듀서의 동작 원리로 전압 신호 펄스와 전류 신호 주파수 트랜스듀서입력 전압 신호의 주파수를 연산하여 계장 신호를 출력하는 변환기. 주파수1초간 사인 파형이 몇 개 들어가는지를 나타낸 값. 일본에서는 50Hz (관동) 와 60Hz (관서) 의 2종류가 있다. 단위: Hz (헤르츠) 전압 위상각 트랜스듀서전압 입력의 2가지 위상차를 연산하여 계장 신호를 출력하는 변환기. 전력멀티트랜스듀서2종류 이상의 전기량을 연산하여 계장 신호를 출력하는 변환기. |
||||||||||||||||||||||||||||||||||||||||||||||||||||||||||||||||||||||||||||||||||||||||||||||||||||||||||
(6) 기타 | |||||||||||||||||||||||||||||||||||||||||||||||||||||||||||||||||||||||||||||||||||||||||||||||||||||||||||
개략 소비 VA트랜스듀서가 입력으로서 필요한 피상 전력. VT/CT에는 정격 부하로서 ‘VA’ 표현으로 규정되어 있으며, 전체 부하가 변성기에 표시된 VA 이하이어야 한다. 허용차표준 상태에서 허용되는 백분율 오차의 한계값. 단, 다양한 환경 조건에 합격할 수 있는 값이어야 한다. 계급. 온도의 영향23±10℃에서 그 변동 폭이 허용차 내이어야 한다. ±20℃에서는 허용차의 배의 값. 주파수의 영향입력 주파수를 50Hz와 60Hz 모두 사용 가능한 타입에서는 45~65Hz의 범위에서 출력 변화 폭이 허용차 내이여야 한다. 외부 자계의 영향전력 관련 트랜스듀서는 대전류 근처에 설치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400A/m인 자계에 설치한 경우에도 오차가 나오지 않도록 규정되어 있다. 출력 변동은 허용차 내이어야 한다. 응답 시간일반적인 변환기는 90% 의 응답 시간으로 규정되어 있지만, 전력과 관련된 경우에는 목표값의 ±1%가 되는 시간으로 규정한다. |
출력 리플 (Ripple)트랜스듀서 출력에 포함되는 교류 성분. 입력이 교류이므로 출력에도 약간 교류 성분이 발생한다. 응답 시간을 빠르게 하면 커진다. 피크 투 피크 (p-p) 로 표현한다. 임펄스 내전압전력 관련의 트랜스듀서는 낙뢰 서지 대책도 중요하다. ±5kV의 JIS C1111일본 산업 규격의 ‘교류 입력 트랜스듀서’를 나타낸다. IEC 60688JIS C1111의 바탕이 된 국제 규격. 변환기의 대 (對) 환경성에서 3단계 레벨로 분리되어 있다. 전력 규격트랜스듀서에서 요구되는 이 규격은 ‘B 402’가 대상인 규격이며, 그 내용은 계전기 (릴레이) 에 대해 규정되어 있다. 대 환경성 항목 (무선기, 과전류 강도 등) 을 충족시켜야 한다. |
||||||||||||||||||||||||||||||||||||||||||||||||||||||||||||||||||||||||||||||||||||||||||||||||||||||||||
(7) 현재의 환경 | |||||||||||||||||||||||||||||||||||||||||||||||||||||||||||||||||||||||||||||||||||||||||||||||||||||||||||
고조파 가이드라인파워 일렉트로닉스 응용 기기는 전력 절약화·자동화에 반드시 필요한 기기인데, 이 기기에서 발생하는 고조파 전류가 다른 전기 기기에 이상음·진동·소손 등의 영향을 준다. 그래서 일본의 통산성 (현경제산업성) 은 1994년 9월 30일부터 가전 기기나 고전압 기기의 고조파 레벨을 규정하는 가이드라인을 만들었다. |
|||||||||||||||||||||||||||||||||||||||||||||||||||||||||||||||||||||||||||||||||||||||||||||||||||||||||||
(8) 전기 지식 | |||||||||||||||||||||||||||||||||||||||||||||||||||||||||||||||||||||||||||||||||||||||||||||||||||||||||||
스켈리턴 (단상 접속도)3상 회로 전체가 기기, 접속 모두 단상과 같이 기입된 전기용 접속도. 기기 표현은 JIS에서 규정된 약어. 계전기 (릴레이)전기적 고장을 검출하고 브레이커에 신호를 보내는 기기. 목적에 따라 수십 종류가 있다. PCT (MOF) 또는 VCT전력 회사가 설치하는 전력량 측정용 VT, CT가 내장된 기기. ASCT로부터의 전류 신호를 전환하는 전용 스위치. CT 2차 개방하지 VSVT로부터의 전압 신호를 전환하는 전용 스위치. VT 2차 단락하지 CB서킷 브레이커의 약어. 100V용에서 수십만 V까지 표현은 같음. 데이터 로거아날로그 신호 및 접점 신호를 모아 시각이 표시된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장치. 경보, 최대값 검출 등의 기능도 있음. 일보·월보하루 및 한 달의 측정 데이터를 보고하는 양식. |
지시침기존의 아날로그 미터에서 현장의 ‘지시 호칭’을 실행하기 위해 평상시의 값 근처에 표시를 기입해 둘 것. 110V DC전력 기기를 백업하는 보조 전원. 백업이 필요한 기기는 일본 전력 디맨드거래용 전기의 수요 전력. ‘디맨드를 감시한다’는 것은 전력 회사와의 계약 전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단위 시간당 전력량을 계측하여 경보 동작을 실행한다는 것과 같은 의미이다. 계약 위반 시에는 벌금이 부과되므로 500kWh 이상의 계약을 맺은 공장에는 대부분 설치되어 있다. 역률 개선공장 등에는 모터 등 ‘지연’ 성분을 발생시키는 부하가 많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콘덴서를 나타낸다. 역률은 일본 전력 회사의 전기 요금에도 영향을 주며, 에너지 절약법에도 규정되어 있다. *1. 정식 명칭은 리액터 피더기본이 되는 전기 배선에서 CB에 의해 분기된 지선. 고압 피더는 1.1kV 이상의 배선, 저압 피더는 600V 이하의 동력, 조명용 배선. 회선수전의 명칭. 2회선 수전이란 다른 장소 2곳을 통해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 것. 한쪽이 정전되어도 공장을 가동할 수 있다. |
||||||||||||||||||||||||||||||||||||||||||||||||||||||||||||||||||||||||||||||||||||||||||||||||||||||||||
주요 기기의 문자 기호 | |||||||||||||||||||||||||||||||||||||||||||||||||||||||||||||||||||||||||||||||||||||||||||||||||||||||||||
전기 설비에 사용되는 기기의 문자 기호는 영문 명칭의 머리글자를 대문자로 열기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다른 명칭과 혼동되기 쉬운 경우에는 제2, 제3 문자까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VCT: 전력 수급용 계기용 변성기 (Instrument Transformers for Metering Service) 라고도 한다. |
|||||||||||||||||||||||||||||||||||||||||||||||||||||||||||||||||||||||||||||||||||||||||||||||||||||||||||
파고율 | |||||||||||||||||||||||||||||||||||||||||||||||||||||||||||||||||||||||||||||||||||||||||||||||||||||||||||
전압 또는 전류의 최대값을 실효값으로 나눈 값.
평균값 지시인 가동 코일 타입 계기의 지시에 사인파 파고율을 곱하면 실효값의 기준이 된다. |
|||||||||||||||||||||||||||||||||||||||||||||||||||||||||||||||||||||||||||||||||||||||||||||||||||||||||||
계기의 용도 기호 | |||||||||||||||||||||||||||||||||||||||||||||||||||||||||||||||||||||||||||||||||||||||||||||||||||||||||||
직류와 교류 기호.
|
|||||||||||||||||||||||||||||||||||||||||||||||||||||||||||||||||||||||||||||||||||||||||||||||||||||||||||
참고 문헌 “그림으로 설명하는, 이해하기 쉬운 전기 공사기초 백과 (개정 2판) ” 전기와 공사 편집부 편/옴사 |